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via le lien des périodiques
Les liens offrent 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ainsi que des périodiques libres en ligne.
정기간행물 목차
Les liens offrent 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ainsi que des périodiques libres en ligne.
연대의 개념과 사상 / 강수택
한국 근현대 협동운동의 역사와 생활협동조합 / 이경란
노동연대, 그 식상함을 넘어서 / 은수미
도시빈민운동의 조직화와 연대 / 최인기
개신교와 연대정신―독일 디아코니아운동의 역사 / 홍주민
지역정치에 부족한 것은 연대! / 하승우
2. 노무현 · 이명박의 어젠다 정치 / 한귀영, 12-40
3. 클린턴과 부시, 단절인가 연속인가 / 안병진, 41-71
4. 룰라, 신자유주의시대 부의 재분배 정치 / 박원복, 72-96
5. 만델라, “다수” 가 아닌 “모두”를 위한 리더십 / 이한규, 97-123
6. 필리핀의 체제 전환과 마르코스의 선택 / 박기덕, 124-146
1. The Korean through a Prism of the Soviet-Japanese Relations(1920-1930) / Zhanna G. Son, 1-28
2. Zainichi Chōsenjin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Everyday Life /Choi Jinseok, 29-46
3. “The August Incident” and the Destiny of the Yanan Faction / Jin Guangxi, 47-76
4. Global History and East Asia / Kwon Nae-hyun, Joseph Jeong-il Lee, 77-108
5.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Japanese Neo-Nationalism / Yi Gyu Soo, 109-131
6. An Analysis of the Autobiographies of the Massacre Victims” Bereaved Families in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 Kim, Moo Young, 133-157
7. Raising the Issue of ‘Modernity’ / Mitsui Takashi, 159-186
1. 역사와 현실 제86호 목차 / 편집부, 1-2
2. 이명박 정부의 747 공약과 그 결과 / 임경석, 3-12
3. 고려전기 정치제도의 운영과 당송제 / 박재우15-32
4. 고려전기 대간의 운영 방식 / 박재우, 33-73
5. 고려전기의 행직(行職)과 수직(守職) / 권영국, 75-107
6. 고려전기 중앙관제와 당송제(唐宋制) / 김대식, 109-141
7. 고려전기 학사관부(學士官府)와 예종대의 학사직 운영 / 신수정, 143-173
8. 신라 상고 시기 “부인(夫人)” 칭호의 수용과 의미 / 이현주, 175-212
9. 대한제국기 언론의 “매국” 용법과 그 정치적 효과 / 김종준, 213-246
10.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궁민구제토목사업과 지역개발 / 고태우, 247-292
11. 해방직후 북한 보안국의 조직과 활동 / 김선호, 293-324
12. 한국의 육군 학군단(ROTC)제도 도입 / 윤시원, 325-359
13. 한국 개념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허수, 361-380
14. 러시아측 사료로 재구성한 아관파천 전후 한국 정치사 / 도면회, 381-392
1 : 여말선초 국왕 잔치의 문제와 연향(宴享)의 성립 / 한정수 ( Jung Soo Han )
2 : 조선 초기 개성의 경관 변화 / 한희숙 ( Hee Sook Han )
3 : 조선초기 월경지(越境地)의 인식과 발생에 관한 재검토 / 최종석 ( Jong Suk Choi )
4 : 조선초기 선공감(繕工監)의 운영과 관원의 성격 / 나영훈 ( Young Hun Na )
5 : 성종대 대간피혐(臺諫避嫌)의 증가와 그 의미 / 송웅섬 ( Woong Sup Song )
6 : 16세기 대명사무역(對明私貿易)의 정책 방향과 굴레 -중종대명(中宗代明)의 “조선사행단 출입제한 조치“를 중심으로- / 구도영 ( Do Young Koo )
7 : 17세기 전반의 조일관계(朝日關係) 전개와 왜학역관(倭學譯官) 제도의 변화 / 이상규 ( Sang Kyu Lee )
박삼옥 교수님의 퇴임에 부쳐 / 유근배, pp.1-6
지역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대중교통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남양주시를 사례로 – /김주락, pp.1-28
“박삼옥 교수님의 정년은 큰 별의 자리이동이다” / 오연천, pp.7-10
“경제공간의 변화”와 함께 한 나의 지리학 연구 / 박삼옥, pp.11-29
주택투자에서 지역과 평형을 고려한 포트폴리오의 위험분산효과 / 박치형, pp.29-48
박삼옥 교수 약력 및 연구업적 /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pp.31-66
서울 대림동의 조선족‘ 통로(Portal)’로서 장소성 형성 / 서지수, 2012년 3월
분양 · 임대 아파트 혼합주거단지의 공간구성과 사회적 혼합 – 하남 풍산지구와 시흥 능곡지구 비교 연구 – / 이주현, pp.77-95
서울시 소매중심지의 변화와 대형소매점의 전략적 입지 / 이후빈, pp.97-124
2. 文殊寺藏經碑와 원간섭기 불교신앙의 한 경향 / 정병삼, 3-36
3. 고려 국왕과 관리의 복식(服飾)이 반영하는 국가 위상과 자의식의 변동 / 이종서, 37-63
4. 조선 후기 취미생활과 문화현상 / 안대회, 65-96
5. 『오경백편』의 선사와 규장각의 문서 행정 / 조계영, 97-135
6. 한·일공학 중등학교 졸업생의 일제하 진로와 해방후 변화 / 정연태, 137-179
7. 음운변화로 본 하생원『주방문』(酒方文)의 필사 연대 / 백두현, 181-211
8. 19세기 변란 참가층의 사회적 관계망과 존재양태 / 윤대원, 215-247
9. 조선후기 체제인식과 민중운동 試論 / 오수창, 249-270
10. 19세기 민중운동과 마이너리티 / 히와 미즈키, 미야가와 타쿠야, 271-285
1. 彌勒寺 創建의 歷史的 背景 / 崔鈆植, 1-35
2. 『고려사』 세가 편목 설정의 문화사적 함의 탐색 / 최종석, 37-83
3. 조선시대의 이색 인식과 연구 과제 / 도현철, 85-113
4. 燔磁會社의 사원 개별운영체제와 彩器 생산 / 박은숙, 115-149
5. 일제강점기 한·일공학 중등학교의 관행적 민족차별 / 정연태, 151-196
6. 총동원체제기(1940~1945년) 경성부의 세출 운영과 특성 / 이명학, 197-234
7. 朝鮮中華主義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 / 우경섭, 237-263
8.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 계승범, 265-294
1. 임술민란기 부세문제 인식과 三政改革의 방향 / 송양섭, 7-53
2. 1862년 三政釐整廳의 구성과 삼정이정책 / 송찬섭, 55-90
3. 임술민란 전후 全羅道의 軍政운영과 殖利문제 / 김경란, 91-120
4. 철종대 정국과 권력 집중 양상 / 임혜련, 121-158
5. 고려전기 臺諫의 조직과 기능 / 박재우, 161-197
6. 고려후기 僧官의 구성과 역할 / 李貞薰, 199-227
7. 독도·울릉도 ‘가지’(강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 한철호, 229-259
8. 마을주민의 시선에서 본 의병운동(1894~1909) / 김헌주, 261-296
9. 일제 시기 ‘역사의 과학화’ 논쟁과 역사학계 ‘관학아카데미즘’의 문제 / 김종준, 297-334
10. 제헌국회의 계엄령 헌법화와 계엄법안의 차별화 / 김무용, 335-374
11. 「『拙藁千百』譯註 」(1) / 이진한, 김보광, 오치훈, 377-413
1. 『萬國事物紀原歷史』의 성립 과정과 지식 체계의 특성 / 황재문, 3-35
2. 전통적 역산천문학의 단절과 근대천문학의 유입 / 전용훈, 37-64
3. 전기 도입에 의한 전통의 균열과 새로운 문명의 학습 / 김연희, 65-95
4. 『高麗史』地理志 고려초기 외관 설치 및 영속관계 편성 기사의 분석 / 윤경진, 99-138
5. 일본 출토 고려청자의 제작시기에 대한 연구 / 김인규, 139-164
6. 19세기 전반 평안도 지역 유배인의 성격과 유배행정 / 심재우, 165-196
7. 창조적 일탈의 상상 / 문중양, 197-226
8.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 박대윤, 227-259
9. 가나자와 쇼지부로(金澤庄三郞)의 『朝鮮語發音篇』에 대하여 / 이진호, 261-304
1. 궁예정권의 철원 천도와 전쟁사적 의미 / 신성재, 1-36
2. 작제건 설화의 새로운 해석 / 정연식, 37-66
3. 1308~1310년 고려내 “牧·府 신설”의 내용과 의미 / 이강한, 67-119
4. 세조대 모련위 정벌의 의미와 대명인식 / 이규철, 121-158
5. 조선후기 中華 인식의 지리적 맥락 / 배우성, 159-195
6. 4월혁명 직후 정군(整軍)운동과 5.16 쿠데타 / 홍석률, 197-230
7. 百濟 遺民들의 唐 移住와 活動 / 金榮官, 231-268
8. 고려후기 이주에 대한 일고찰 / 이형우, 269-300
9. 재독한인들의 한국인으로서의 인식문제와 정체성 변천과정 / 이선희, 301-335
1 : 일반논문 : 미셸 푸코와 “근대성의 놀이들” -『말과 사물』과 「계몽이란 무엇인가?」의 사이에서 /허경 ( Kyoung Huh )
2 : 일반논문 : 과거를 표상하기: 도시와 전후(戰後) 영화 /나이토마리코 ( Mariko Naito )
3 : 일반논문 : 계급투쟁의 장으로서 국가: 자본주의 국가 공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자본 축적과 정치적 조절 사이의 공간적 규모(Scale) 불일치에 대한 개념화 /최영진 ( Young Jin Choi )
4 : 일반논문 : 『한경지략』을 통해 본 19세기 서울인식 /김현정 ( Hyun Jung Kim )
5 : 일반논문 : 화법강좌 수강전후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김보경 ( Bo Kyoung Kim )
6 : 일반논문 : 서울 대학가 저소득층 대학생의 연애 /김효진 ( Hyu Jin Kim )
1 : 특집논문 : 지구화 시대 도시의 새로운 도전들 ; 기후변화와 호주의 사회·정치적 균열 /박순열 ( Soon Yawl Park )
2 : 특집논문 : 지구화 시대 도시의 새로운 도전들 ; 동아시아의 복합위기의 특성과 대응단위로서 평화도시의 가능성과 전략 /이기호 ( Ki Ho Yi )
3 : 일반논문 : 건국 초기와 19세기 미국에서 재산권 사상과 사적 이익을 위한 공용수용 /김용창 ( Young Chang Kim )
4 : 관점과 현장 : 동네에서 시작하는 도시의 또 다른 가능성 이제 동네를 이야기하자 /김한울
5 : 서평 :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를 읽고 Murray Bookchin. Social Ecology and Communalism (메이데이, 2012) /엄은희
황정아 / ‘이미 와 있는 미래’의 소설적 주체들
정홍수 / 세상의 고통과 대면하는 소설의 자리
복도훈 / 르뽀, 죽음의 증언 그리고 삶을 위한 슬로건
6 Contents / editor
5 Imperial Writings: Rereading the Autobiography of Aisin Gioro Puyi / Olivia Anna Rovsing MILBURN
4 Can we Call Zhu Xi’s Notion of Xin Mind?: The Neo-Confucian Way of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Mind / Chan LEE
3 Contrast in Space and Characters: Han sŏr-ya’s Counter-censorship Strategies in the Newspaper Serial, Hwanghon(Dusk, 1936) / Jae-Yon LEE
2 The Kŭmo sinhwa-Product of a Cross-border Diffusion of Knowledge between Ming China and Chosŏn Korea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 Dennis WUERTHNER
1 Book Reviews / Antonetta L. BRUNO; Tze-ki HON; Daniel C. KANE
6 Contents / editor
5 Film Propaganda and the Anti-schistosomiasis Campaign in Communist China / Ka-wai FAN
4 Between Sensationalism and Didacticism: News Coverage of the Huang-Lu affair and the Chinese Press in the Late 1920s . Qiliang HE
3 Pygmalion Colonialism: How to Become a Japanese Woman in Late Occupied Taiwan / Dean BRINK
2 The “High Miss” and Female Identity in the Fiction of Tanabe Seiko / Nathaniel PRESTON
1 Book Reviews Cheolbae SON, Klaus DITTRICH, Marten SODERBLOM SAARELA
저산지 곡부 습지의 지형적 특성 / 남서정, pp.1-19
산지토양특성의 공간적 분포와 예측가능성 – 남양주 화도읍 일대 산지를 대상으로 – / 정관용, pp.21-42
농식품 산업의 지역화 – 문경 오미자 상품사슬을 사례로 – / 정선화, pp.43-72
댄스클럽의 기업화에 따른 클럽문화의 변화와 지역 차별성의 강화 – 홍대, 이태원, 강남지역에 대한 취향문화적 접근 – / 최선영, pp.73-107
서울시 뮤지컬 산업의 프로젝트 기반 조직 구성 / 최성웅, pp.109-132
국토문제연구소 동정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동점/지리학과 대학뭔 운영 지침 /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pp.133-146
허우긍 교수 약력 및 연구업적 /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pp.-17–1
귀향(歸鄕) / 허우긍, pp.-26–18
허우긍 교수님의 퇴임에 부쳐 / 유근배, pp.-31–27
1. 韓國史學報 제48호 목차 / 편집부, 5-5
특집 : 고려시대 ‘傳記類’의 기재방식과 시대적 의미
2. 『高麗史』「辛禑傳」의 편찬방식과 자료적 성격 / 이정란, 7-43
3. 고려후기 文人 年譜와『高麗史』列傳 기사의 비교 검토 / 이정호8, 45-69
4. 『고려사절요』卒記의 기재방식과 성격 / 김난옥, 71-106
5. 고려시대 묘지명에 보이는 연대와 호칭 표기방식 / 김창현, 107-159
6. 大覺國師 義天 ‘傳記’의 유형별 기재방시과 특징 / 박윤진, 161-190
논단
7. 高句麗人의 死後觀念과 그 表現 / Andrea De Benedittis, 193-217
8. 조선 초기 王親婚 王室 妾子孫에 대한 사회적 인식 / 박진, 219-253
9. 조선후기 왕비 삼간택의 문화심리 / 임민혁, 255-288
기타
10. 학회소식 외 / 편집부, 289-291
시론
2. 유신선포 40주년, 생활과 정치에 대한 성찰 / 홍석률, 3-15
특집 : 당론서를 통해서 본 조선후기 정치사 인식
3. 총론 : 조선후기 당론서의 객관적 연구는 가능한가? / 김용흠, 19-36
4. 『아아록(我我錄)』의 조선 정치사 서술과 인식 태도 / 정호훈, 37-79
5. 『동소만록(桐巢漫錄)』에 반영된 남하정(南夏正)의 정국인식 / 원재린, 81-110
6. ‘당론서(黨論書)’를 통해서 본 회니시비(懷尼是非) / 김용흠, 111-175
7. 임오화변(壬午禍變) 관련 당론서(黨論書)의 계통과 ‘정조의 임오의리’ / 최성환, 177-224
일반 논문
8. 의자왕대 정치세력의 변화와 대외정책 / 장미애, 225-258
9. 993년 고려−거란 간 갈등 및 여진 문제 / 최덕환, 259-303
10. 고려말기 지역방어체제와 그 시대성 / 최종석, 305-348
11. 조러육로통상장정(1888) 체결을 둘러싼 조·청·러 삼국의 협상과정 연구 / 한동훈, 349-391
12. 북한의 계급정책과 계급위계구조의 형성(1945∼1950) / 김재웅, 393-433
연구 동향
13. 고려시대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이강한, 435-471
특별 기획
14. 한국의 학술지원 시스템의 현황과 과제 / 고영진, 473-494
시론
2. 김정은시대 북한의 정책 전망과 남북관계 / 정창현, 3-17
특집 : 두 왕조에 출사한 지식인, 권근
3. [총론] 사회변동기 인물 연구의 새로운 모색 / 남동신, 21-30
4. 『양촌집』시문으로 본 권근의 자아정체성 / 김인호, 31-63
5. 권근의 유교 정치 이념과 정도전과의 관계 / 도현철, 65-94
6. 「동현사략(東賢事略)」의 자료 가치와 특성 / 박종기, 95-127
7. 고려 말 권근(權近)의 유배(流配)ㆍ종편(從便) 생활과 교유 / 채웅석, 129-167
논문
8.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의 국경 변천 / 여호규, 169-213
9. 고려전기 정부의 한인(漢人)인식과 내투(來投) 한인들의 행적 / 박순우, 215-249
10. 명대의 예제 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 / 정동훈, 251-292
11. 분재기를 통해 본 15~16세기 사족층의 주택 소유와 상속 / 박현순, 293-330
12. ‘의살(義殺)’의 조건과 한계 / 김호, 331-362
13. 5ㆍ16군사정부의 상업차관 도입과 운용 / 이정은, 363-406
연구동향
14. 한국전쟁기 남한(유엔군)ㆍ북한의 ‘점령통치’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제언 / 한모니까, 407-431
서평
15. 몽골전쟁과 최씨정권을 보는 두 가지 시각 / 임용한, 433-444
1 : 논문 : 조선시대 사위의례(嗣位儀禮)에 대한 연구 / 김지영 ( Ji Young Kim )
2 : 논문 : 15세기 중반~16세기 조선 북방 군역(軍役)의 폐단과 군액(軍額) 감소 / 김순남 ( Soon Nam Kim )
3 : 논문 : 인조대(仁祖代) 대후금(對後金)대청(對淸) 방어책의 추진과 한계 -수성(守城) 전술을 중심으로- / 허태구 ( Tae Koo Huh )
4 : 논문 :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의 對明 외교활동 -선조와 광해군대를 중심으로- / 김우진 ( Woo Jin Kim )
5 : 논문 : 조선후기 종묘 증축과 제향의 변화 / 이욱 ( Wook Lee )
6 : 논문 : 『묘전궁릉원묘조포사조(廟殿宮陵園墓造泡寺調)』를 통해 본 조선후기 능침사의 실태 / 탁효정 ( Hyo Jeong Tak )
1. 역사전문대중지, 25년100호 / 정병욱, 2-7
2. 진보적 역사학의 상징,『역사비평』25년의 성과와 과제 / 정태헌, 8-21
3. 우리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이 던진 7개의 질문 / 편집부, 23-28
4.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강만길, 29-37
5.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이영석, 37-42
6.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후지나가 다케시, 43-47
7.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도면회, 47-56
8.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안드레 슈미드, 56-68
9.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허영란, 68-72
10.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염복규8, 72-77
11.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이유재.8, 78-84
12.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장용경, 84-93
13.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강진아, 94-99
14.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예대열, 99-110
15.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한봉석, 110-120
16.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이정선, 120-127
17.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김아람, 127-135
3. 민중주의민속학과 우리민속학의 전망 / 나승만, 11-41
4. 中國現代民俗學發展歷程的反思和展望 / 庞建春, 43-78
5. 인접학문의 눈으로 본 중국민속학 / 王加華, 79-94
6. 야나기타 민속학을 통해본 일본 민속학의 현재 / 남성호, 95-124
1. Editor’s Preface / Young-Jin Ahn, 471-473
2. Development in Geomorphology and Soil Geography / Kyeong Park, 474-489
3. Review of Trends in Recent Climate Research by Korean Climatologists / Eungul Lee , Kyoungmi Lee , Seungho Lee, 490-513
4. Biogeographical Studies in Korea / Jungjae Park, 514-521
5. Retrospect and Prospect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 / Wonho Lee , Sung-Cheol Lee , Yangmi Koo, 522-540
6.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Urban Geography / Jae-Heon Choi , Young-Woo Nam, 541-553
7. Trends and Issues in Social Geography in the 2000s in Korea / Byung-Doo Choi, 554-567
8.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 Keumsoo Hong, 568-591
9. GIScience Studies and Policies in Korea / Cha Yong Ku, Chulsue Hwang, Jinmu Choi, 592-605
10. Geo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in Korea / Sang-Il Lee , Kamyoung Kim, 606-624
11.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Tae-Yeol Seo , Minsung Kim, 625-640
1. Kenneth H. J. Gardiner / 편집부, 7-12
2.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Annals of Koguryŏ” in the Samguk Sagi / Kenneth H. J. Gardiner, 15-58
3. Goguryeo Buddhism / John Jorgensen, 59-107
4. From Liaodongese Refugee to Ming Loyalist / Adam Bohnet, 109-139
5. Doing Korean History Research Outside of Korea / Vladimir Tikhonov, 141-164
Materials on Korean Studies
6. Materials and Trends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Wooden Slips / Jeon Deog-jae, 167-197
7. Wŏnhyo’s Philosophy of Mind, edited by A. Charles Muller and Cuong T. Nguyen / Sumi Lee, 201-204
8. The Dokdo/Takeshima Controversy / John Olushola Magbadelo, 2012.6, 205-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