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via le lien des périodiques
Les liens offrent 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ainsi que des périodiques libres en ligne.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KSI-KISS)
Les liens offrent 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ainsi que des périodiques libres en ligne.
1 : 일반논문 : 미셸 푸코와 “근대성의 놀이들” -『말과 사물』과 「계몽이란 무엇인가?」의 사이에서 /허경 ( Kyoung Huh )
2 : 일반논문 : 과거를 표상하기: 도시와 전후(戰後) 영화 /나이토마리코 ( Mariko Naito )
3 : 일반논문 : 계급투쟁의 장으로서 국가: 자본주의 국가 공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자본 축적과 정치적 조절 사이의 공간적 규모(Scale) 불일치에 대한 개념화 /최영진 ( Young Jin Choi )
4 : 일반논문 : 『한경지략』을 통해 본 19세기 서울인식 /김현정 ( Hyun Jung Kim )
5 : 일반논문 : 화법강좌 수강전후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김보경 ( Bo Kyoung Kim )
6 : 일반논문 : 서울 대학가 저소득층 대학생의 연애 /김효진 ( Hyu Jin Kim )
1 : 특집 : 지구화시대 아시아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향 ; 동아시아 지역내 지구화되는 도시와 경계초월 도시 네트워크 :부산-후쿠오카 “공동생활구역(common Living sphere)” 사례 연구 /마이크더글라스 ( Mike Douglass )
2 : 특집 : 지구화시대 아시아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향 ; 영안백화점과 상해 모던 시대의 생활 트렌드 /쏭쭈안요우 ( Zuan You Song )
3 : 특집 : 지구화시대 아시아 도시연구의 새로운 방향 ; 중국의 “두 도시 이야기” -1966년 9월의 사건으로 예증하다 /진따루 ( Da Lu Jin )
4 : 일반논문 : 대도시의 미학을 위한 프로레고메나 -짐멜, 크라카우어, 벤야민에 기대면서 /하선규 ( Sun Kyu Ha )
5 : 일반논문 : 도시 문화에 대한 위상학적 이해 -멈포드, 슈뢰드 등의 사회이론과 들뢰즈의 철학적 토대 /신지영 ( Ji Young Shin )
6 : 일반논문 : 우리 시대가 “위험에 빠진 신체”에 대처하는 한 방식: 푸코의 『안전, 영토, 인구』를 중심으로 /도승연 ( Seung Youn Dho )
7 : 일반논문 :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초기 공간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허경 ( Kyoung Huh )
8 : 일반논문 : “그땐 그랬어!” -개혁 이전 시기 기술적 기념품과 1990년대 후반 하노이의 가족 개성화 /마르쿠스숼레케 ( Markus Schiecker )
1 : 일반논문 : 공간-마련과 깃들임의 사유: 하이데거 사유를 통해 본 도시 공간의 의미 /김동훈 ( Dong Hun Kim )
2 : 일반논문 : 발터 벤야민과 루이스 칸의 문지방Threshold /우영선 ( Young Sun Woo )
3 : 일반논문 : 공화정기 로마 귀족과 평민의 관계 -포룸과 포풀리즘- /김창성 ( Chang Sung Kim )
4 : 일반논문 : 하나인 다중(UNA SOLA MOLTITUDINE): 기본소득을 위한 투쟁 그리고 이탈리아, 영국 및 일본에서 도출된 공통 논리 /도루야마모리 ( Toru Yamamori )
5 : 일반논문 : 기본소득, 노동(운동)과 문화(운동)의 선순환의 고리 /심광현 ( Kwang Hyun Sim )
6 : 일반논문 : 박인환 시에 나타난 도시적 서정성 연구 /노승욱 ( Seung Wook Roh )
7 : 일반논문 : 한국 현대시에서 “흰 그늘의 시학”의 계보 /박성필 ( Sung Pil Park )
8 : 도시연구동향 : 상해사(上海史) 연구의 회고와 전망 -중국 근대도시사의 공간적 맥락- /김승욱 ( Seung Wook Kim )
9 : 도시연구동향 :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정인숙 ( In Sook Jeong )
1 : 특집 :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 지구화시대의 매체 이주 : 초국주의 (Transnationalism)의 이론과 실천: 활용, 오용, 남용 /아리프딜릭 ( Dirlik Arif ), 27 pages
2 : 특집 :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 지구화시대의 매체 이주 : 코스모폴리스에서의 인재/노동/결혼 이주: 싱가포르의 국가체제와 시민사회 발전 /브렌다S.A.여 ( Brenda S. A. Yeoh ), 26 pages
3 : 특집 :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 지구화시대의 매체 이주 : 민국(民國) 시기 상해에서의 언론과 광고 /무라이히로시 ( Murai Hiroshi ), 22 pages
4 : 특집 :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 지구화시대의 매체 이주 : 경계를 넘는 샤머니즘: 재일 한국인 1세대 여성의 사례 연구 / 료코미야시타 ( Miyashita Ryoko ), 18 pages
5 : 특집 : 경계초월자와 도시 연구 ; 지구화시대의 매체 이주 : Der Ostaisatische Lloyd(『덕문신보(德文新報)』) 와 상해 거류 독일인 / 왕웨이지앙 ( Wei Ji Ang Wang ), 12 pages
6 : 일반논문 : 도시화와 성적 친밀성의 상품화: 서울의 키스방 서비스를 중심으로 / 이현재 ( Hyun Jae Lee ), 20 pages
7 : 일반논문 : 서울학 연구의 현재적 의미와 한계 / 유승희 ( Seung Hee Yoo ), 33 pages
8 : 일반논문 : 철학적 전제와 자유의 문제 / 신지영 ( Ji Young Shin ), 26 pages
9 : 일반논문 : 고전문학 콘텐츠의 글로벌화 전략과 『홍길동전』/ 전이정 ( Yi Jeong Jeon ), 19 pages
10 : 서평 :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Paris, capital of modernity)』/ 김동훈 ( Dong Hun Kim ), 24 pages
1 : 특집 : 발터 벤야민: 우리 시대의 도시사상가 ; 세계의 몰락과 영웅적 멜랑콜리: 독일 바로크 비극, 보들레르, 그리고 발터 벤야민 / 김동훈 ( Dong Hun Kim ), 44 pages
2 : 특집 : 발터 벤야민: 우리 시대의 도시사상가 ; 초현실주의 이념과 라깡 정신분석학의 관련성 연구: 발터 벤야민의 「초현실주의」를 중심으로 / 남인숙 ( In Suk Nam ), 54 pages
3 : 특집 : 발터 벤야민: 우리 시대의 도시사상가 ; 발터 벤야민의 역사철학테제: 역사주의와 역사 유물론 그리고 메시아주의의 성좌구조 / 고지현 ( Ji Hyun Ko ), 36 pages
4 : 특집 : 발터 벤야민: 우리 시대의 도시사상가 ; 미디어 공간의 원사(原史): 발터 벤야민과 19세기 파리의 정보 산업 / 강재호 ( Jae Ho Kang ), 31 pages
5 : 일반논문 : 기본소득, 지구화와 이주 / 필리페판빠레이스 ( Philippe Van Parijs ) , 야닉판더보트 ( Yannick Vanderborght ), 26 pages
6 : 일반논문 : 전지구적 가구화(global householding)의 관점에서 본 한국, 일본, 대만의 이주와 사회 변화에 관하여 / 마이크더글라스 ( Mike Douglass ), 49 pages
7 : 일반논문 : 잊혀진 여성들: 기본소득을 위한 싱글맘의 잊혀진 투쟁 / 도루야마모리 ( Toru Yamamori ), 20 pages
8 : 일반논문 : 서울의 도시정치의 특징과 진보정치의 가능성 / 김현우 ( Hyun Woo Kim ), 29 pages
9 : 일반논문 : “날이미지시” 의 표상 공간 / 함종호 ( Jong Ho Ham ), 31 pages
10 : 일반논문 :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그 구조와 의미 / 신지영 ( Ji Young Shin ), 26 pages
1 : 탈정치적 도시의 자가당착 / Erik Swyngedouw, 38 pages
2 : 정신분석과 마르크스주의의 교차로에서 -발터 벤야민의 도시철학 방법론 / Joon Kee Hong , 21 pages
3 : 글로보폴리스인가? 코스모폴리스인가? -동아시아 도시 생활의 대안적 미래 / Mike Douglass, 50 pages
4 : 글로벌폴리스와 희망의 시공간 -“글로벌 시티” 담론과 하비의 “희망의 공간”에 대한 비판과 변형 / No Wan Kwack , 18 pages
5 : 선구조화된 도시 발전 가능성 도시 -고유의 논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유럽 사례 연구 / Mar Tina Low, 20 pages
6 : 아고라와 포룸 -도시구조와 정체- / 김창성, 38 pages
7 : 산업혁명 이후 서양도시계획에대한인문학적성찰 / 민유기 ( You Ki Min ), 28 pages
8 : 조선 서학(西學) 발전에 미친 신유박해의 영향 / 펑웨이, 23 pages
9 : 인도학 연구사 개설 /린타이, 8 pages
10 : 유럽의 시점에서 본 동아시아 도시 -제1차 도시인문학 국제학술대회 참가기 / Le ROUX Brendan, 3 pages
1 : 글로벌폴리스와 도시인문학의 가능성 이성백 ( Seong Paik Lee ) 2 :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시공간과 미디어공간의 문화,정치적 상호작용 심광현 ( Kwang Hyun Shim ) 3 : 도시민의 문화자본과 문화적 취향분화 -관람형 여가소비를 중심으로- 이승일 ( Seung Il Lee ) , 장윤정 ( Yun Jung Jang ) 4 : 근대 중국의 시진(市鎭) 연구 -1860~1936년 양자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렌팡 ( Fang Ren ) , 이평수(역) 5 : 일본 근세도시 에도의 기능과 성격 오이시마나부 ( Ooishi Manabu ) 6 : 고려후기 성리학 수용과 질병 대처 양상의 변화 강도현 ( Do Hyun Kang ) 7 : 조선 태종 11년(1411) 이색(李穡) 비명(碑銘)을 둘러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