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via le lien des périodiques
Les liens offrent 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ainsi que des périodiques libres en ligne.
역사문제연구소 (DBpia)
Les liens offrent les sommaires des périodiques ainsi que des périodiques libres en ligne.
연대의 개념과 사상 / 강수택
한국 근현대 협동운동의 역사와 생활협동조합 / 이경란
노동연대, 그 식상함을 넘어서 / 은수미
도시빈민운동의 조직화와 연대 / 최인기
개신교와 연대정신―독일 디아코니아운동의 역사 / 홍주민
지역정치에 부족한 것은 연대! / 하승우
2. 노무현 · 이명박의 어젠다 정치 / 한귀영, 12-40
3. 클린턴과 부시, 단절인가 연속인가 / 안병진, 41-71
4. 룰라, 신자유주의시대 부의 재분배 정치 / 박원복, 72-96
5. 만델라, “다수” 가 아닌 “모두”를 위한 리더십 / 이한규, 97-123
6. 필리핀의 체제 전환과 마르코스의 선택 / 박기덕, 124-146
1. 역사전문대중지, 25년100호 / 정병욱, 2-7
2. 진보적 역사학의 상징,『역사비평』25년의 성과와 과제 / 정태헌, 8-21
3. 우리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이 던진 7개의 질문 / 편집부, 23-28
4.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강만길, 29-37
5.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이영석, 37-42
6.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후지나가 다케시, 43-47
7.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도면회, 47-56
8.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안드레 슈미드, 56-68
9.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허영란, 68-72
10.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염복규8, 72-77
11.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이유재.8, 78-84
12.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장용경, 84-93
13.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강진아, 94-99
14.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예대열, 99-110
15.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한봉석, 110-120
16.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이정선, 120-127
17. 14인의 역사학자가 보낸 답변들 / 김아람, 127-135
책머리에
1. 아직은 우리에게 결단할 시간이 남아 있다 / 백준기, 2-10
특집 : 【유신헌법 공포 40년】 일상과 의식 속의 유신체제
2. 유신시대 학생, 모의 수류탄을 던지다 / 허은, 12-41
3.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 박유희, 42-90
4. 유신 독재와 주민등록제도 / 홍성태, 91-112
5. 박정희 정권의 ‘호국 영웅 만들기’와 전통문화유산정책 / 전재호, 113-140
지금, 여기!
6. 동시에, 그리고 어디서나 / 최우성, 141-156
7. 충칭 사건 / 왕후이, 성근제, 157-187
8. 【해제】 왕후이가 바라보는 중국 정치개혁의 방향 / 성근제, 188-192
논쟁 : 민족 / 국민 Ⅲ
9. 내셔널리즘의 딜레마 / 장문석, 194-219
초점 : 7ㆍ4 남북공동성명 40주년
10. 7ㆍ4 남북공동성명의 재해석 / 김연철, 220-260
기획 : 전환기의 역사정책Ⅰ
11. [편집인의 말] ‘전환’이 필요하다! 역사정책을 제안하며… / 이동기, 정병욱, 262-262
12. 민주적인 역사교육정책의 수립과 실천 방안 / 안병우, 263-283
13.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사업 비판과 정책 대안 / 이동기, 홍석률, 284-313
14. ‘남북 역사인식 연합’을 위한 역사학 교류 / 정태헌, 314-340
1. 혼돈과 기회가 교차하는 2012년을 열며 / 홍석률, 2-9
2. 유쾌한 분노? / 김성보, 10-21
3. 연합정치의 비교정치적 맥락과 한국적 적용 / 조성대, 홍재우, 24-56
4. 시민정치의 부상과 정당정치 / 이남주, 57-87
5. 1956년 대선과 민주당-진보당 야당연합 / 김지형, 88-120
6. 1971년의 선거와 민주화운동 세력의 대응 / 홍석률, 121-151
7. 1987년 대선과 후보 단일화 논쟁의 비판적 재평가 / 정상호, 152-186
8. 20세기 전환기 영국의 진보연대 / 최재희, 187-213
9. 독일 탈핵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그 시사점 / 박진희, 214-246
10. 민족 개념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것이 의미하는 것 / 이태훈, 248-268
11. 양반을 향한 긴 여정 / 권내현, 269-298
12. 사상捨象의 사상화思想化라는 방법 / 권혁태, 299-327
1. 양쪽의 풀을 먹는 소 / 정병욱, 2-6
2. 고르바초프의 “신사고”와 냉전 체제의 종식 / 김남섭, 8-45
3. 김일성의 남방정책과 남북기본합의서 / 이정철, 46-79
4.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남북기본합의서 /김연철, 80-110
5. 남북기본합의서와 6·15남북공동선언 / 임동원, 111-133
6. 21세기 한국, 20세기와의 결별 가능성 / 류준필, 136-169
7. 파루시아의 역사유물론 / 윤인로, 170-189
8. 후쿠시마 원전을 통해 생각하는 전후 일본 / 가이누마 히로시 , 후지이 다케시, 190-221
9. 100년 동안의 급진에서 벗어나다 / 원톄쥔, 224-251
10. [해제] 원톄쥔이 재구성한 중국 근현대사 / 김진공, 252-257
11.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 성근제, 258-291
12. 중국의 미래, 중국이라는 미래 / 이정훈, 292-317
13. “전환의 계곡”을 넘어 / 임현진 , 정영철, 318-348
14. 권위주의적 근대화의 역사적 기원 / 이병천, 349-396
1. 보수에게서 ‘자유’를 되찾자 / 정병욱, 2-6
2. 이승만과 3ㆍ15 부정선거 / 서중석, 7-33
3. 헌법 전문을 통해 본 대한민국의 과거와 미래 / 강경선, 36-60
4. 우리 헌법사에서 ‘기본권’의 의미 / 신우철, 61-108
5. 박정희 시기의 헌법 정신과 내용의 해석 / 박명림, 109-139
6. 후쿠시마 사고 전후 한국 원자력 정책의 변화와 전망 / 진상현, 140-166
7. [편집인의 말] 첫 번째 논쟁, ‘민족/국민’을 시작하며 / 허은, 168-168
8.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 진태원, 169-201
9. 이명박 정부의 역사 인식과 역사교육 정책 / 김한종, 204-242
10. 현대사박물관, 어떻게 만들 것인가? / 이동기, 243-279
11. 라틴아메리카의 중도좌파 붐 / 이성형, 280-316
12. 국학자 홍기문 연구 3 / 강영주, 317-350
책머리에
1. 대안과 소통을 위하여 / 정병욱, page(s): 2-6
특집 : 【5·16군사쿠데타 50년】- 한국 ‘보수주의’ 를 묻는다
2. 한국 보수주의의 이념적 특징 / 김병곤(Kim Byung Kon), page(s): 8-35
3. 박정희 정권과 한국 보수주의의 퇴보 / 이나미(Lee Na Mi), page(s): 36-67
4. 박정희 정권기 개발독재 비판 / 정일준(Chung Il Joon), page(s): 68-92
인물탐구
5. 조봉암의 모스크바 외교 / 임경석(Lim Kyong Sok), page(s): 94-126
6. 동아시아 기억의 장소로서 力道山 / 이타가키류타(板垣竜太), page(s): 127-160
특별기고
7. 2011 매장문화재법 하위법령의 두 가지 현안과 과제 / 이인재(Lee In Jae), page(s): 161-189
기획 : 포스트-식민시대 유럽의 박물관을 가다
8. 포스트-식민 박물관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 염운옥(Yeom Woon Ok), page(s): 192-217
9. 제국 이후의 문명화 사명 / 김용우(Kim Yong Woo), page(s): 218-242
연구동향
10. 반공주의 대 내재적 접근? / 옌스휘트만(Jens Hüttman) , 한운석(Han Un Suk), page(s): 243-258
역비논단
11. 『역사비평』의 시민사회적 담론 지형 / 김정인(Kim Jeong In), page(s): 259-288
12. 1960년대 ‘1차 인혁당’ 연구 / 전명혁(Jun Myung Hyuk), page(s): 289-322
13. 통합적 지역사 쓰기의 첫 시도 / 신주백(Sin Ju Back), page(s): 323-339
책머리에
1. 조세 공공성의 실현 없이 복지의 미래는 없다 / 김성보(Kim Dong Choon), page(s): 2-11
시평
2. 민간인 김종익 사찰 건으로 본 이명박 정부 / 김동춘(Kim Dong Choon), page(s): 12-27
특집 : 조세의 공공성을 묻다
3. 한국의 근대 조세 100년사와 국가, 민주화, 조세 공평의 과제 / 정태헌(Jung Tae Hern), page(s): 30-67
4. 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토지보유세의 역사와 의미 / 전강수(Jun Gang Soo), page(s): 68-103
5. 대동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공공성 관념과 현실 / 이정철(Lee Jung Chul), page(s): 104-127
6. 한국 조세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 / 김정진(Kim Jung Jin), page(s): 128-140
대담
7. 대학과 학문의 회복을 위하여 / 김우창(Kim U Chang), 박명림(Park Myung Lim), page(s): 141-197
기획 : 한국현대사와 비전향장기수
8. 한국현대사의 그늘, 남파공작과 비전향장기수 / 한홍구(Han Hong Koo), page(s): 200-257
9. 1960~70년대 비전향장기수와 감옥의 일상사 / 김귀옥(Kim Gwi Ok), page(s): 258-297
10. 빨치산, 역사의 격랑에 선 사람 / 김진환(Kim Jin Hwan), page(s): 298-328
논쟁
11. 길 잃은 역사대중화 / 정병설(Jung Byung Sul), page(s): 329-360
인물탐구
12. 18세기의 노비 시인 정초부 / 안대회(Ahn Dae Hoe), page(s): 361-390
역비논단
13. 1950년대 민족문화 재건 담론과 “우수영화” / 이하나(Lee Ha Na), page(s): 391-423
14. 한국전쟁, 다르게 보기 – 새로운 방법론과 문헌자료가 만들어낸 새로운 역사상 / 김태우(Kim Tae Woo), page(s): 424-442
책머리에
1. 지속적인 과거청산을 위하여 / 홍석률, page(s): 2-12
제언
2. ‘동아시아 역사ㆍ인권ㆍ평화선언’을 위해 / 서승(Suh Sung), page(s): 13-29
특집 : 미완의 과거청산 – 성과와 쟁점 과제
3. 한국 과거청산의 현황과 과제 /안병욱(Ahn Byung Ook), page(s): 32-60
4. 글로벌 시각에서 본 과거청산의 의미 / 정현백(Chung Hyun Back), page(s): 61-90
5. 국가기구에 의한 친일청산의 역사적 의미 / 이준식(Lee Jun Sik), page(s): 91-115
6.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실현 / 한성훈(Han Sung Hoon), page(s): 116-141
7. 국가기관의 민주화와 과거사청산 / 안김정애(Ahn-Kim Jeong Ae), page(s): 142-164
기획1 : 현대사의 분수령, 1970년
8. 와우아파트, 경부고속도로, 그리고 주한미군 감축 / 박태균(Park Tae Gyun), page(s): 165-195
기획 : 동아시아 지식인Ⅲ – 아나키스트, 지역연대와 사회혁명을 향해
9. 이정규, 초국가주의적 한국 아나키즘의 실현을 위하여 / 황동연(Hwang Dong Youn), page(s): 198-230
10. 바진, 세계를 향해 창문을 열다 / 박난영(Park Ran Young), page(s): 231-267
논쟁
11. ‘파리의 조선 무희 리진’의 역사성 / 주진오(Chu Chin Oh), page(s): 268-295
역비논단
12. 민족주의와 유럽통합 / 김승렬(Kim Seung Ryeol), page(s): 296-328
13. 열하사절단이 체험한 18세기 말의 국제질서 / 차혜원(Cha Hye Won), page(s): 329-353
14. 수복지역 양양 주민들의 한국전쟁 경험 / 김영미(Kim Young Mi), page(s): 354-384
15. “인정투쟁”으로서 주변의 재발견 / 이용일(Lee Yong Il), page(s): 385-412
16. 식민지 사법의 기원에서 유산까지 : 『법원과 검찰의 탄생-사법의 역사로 읽는 대한민국』문준영, 역사비평사, 2010 / 염복규(Yum Bok Kyu), page(s): 413-425
책머리에
1. 대학의 회복과 갱신을 위하여 / 박명림, page(s): 2-14
특집 : 대학의 붕괴 – 기업화, 서열화, 지성의 몰락
2. 한국 대학의 기업화 / 고부응(Koh Boo Eung), page(s): 16-42
3. 인적자원 개발과 학문의 식민화 / 강수돌(Kang Su Dol), page(s): 43-73
4. 한국의 대학과 시간강사 / 임성윤(Lim Sung Yun), page(s): 74-104
5. 대학생, 대학생문화, (불) 가능성의 조건 / 김성윤(Kim Sung Yoon), page(s): 105-132
6. 대학서열체제와 그 해소방안 / 정진상(Jeong Jin Sang), page(s): 133-157
7. 학문의 수도권 집중과 지방대학의 황폐화 / 백종국(Back Jong Gook), page(s): 158-184
8. 신자유주의 대학체제의 평가제도와 글쓰기 / 천정환(Cheon Jung Hwan), page(s): 185-209
기획 : 강제병합 100년, 성찰과 전망
9. 강제병합 100년과 성장의 공공성 / 이승렬(Lee Seung Ryul), page(s): 212-228
10. ‘동아시아공동체’ 구상과 한반도 / 백낙청(Paik Nak Chung), page(s): 229-249
특별연구
11. 국학자 홍기문 연구 2 / 강영주(Kang Young Zu), page(s): 250-290
역비논단
12.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 장신(Jang Shin), page(s): 291-327
역사의 창
13. 남아공 월드컵과 흑인 노동자ㆍ민중 / 김영수(Kim Young Su), page(s): 328-346
서평
14. 일국사를 넘어 교착의 한일관계 / 권혁태, page(s): 347-355
15. 도쿄대학이라는 창문을 통해 들여다본 일본의 근대 / 원지연, page(s): 356-363
1. 결국 고통받는 쪽은 남북의 민중이다 /김성보 pp. 2~8 시론 2. 정치에 무관심한 세대를 위한 정치학 /임헌영(Yim Hun Young)pp. 9~19 특집 Ⅰ 한국전쟁 – 국민의 경계지대에서 바라보다 3. 한국전쟁과 여성 /함한희(Hahm Han Hee) pp. 22~52 4.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 /김귀옥(Kim Gwi Ok) pp. 53~93 5. 한반도 화교들의 한국전쟁 /왕엔메이(王恩美) pp. 94~127 6.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 /한모니까(Hahn Monica)pp. 128~150 특집Ⅱ : 한국전쟁과 세계사 7.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김동춘(Kim Dong Choon) pp. 152~181 8. 한국전쟁이 유럽에 미친 영향 /김승렬(Kim Seung Ryeol) pp. 182~209 기획 : 전쟁의 또 다른 이면 9.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 /정병욱(Jung Byung Wook) pp. 212~231 10. 전쟁으로...
책머리에 1. 2010년, 무엇을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 / 김성보 pp. 2~11 시론 2.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식민지 체험과 새로운 근대 기획 / 정연태(Chung Youn Tae)pp. 12~47 특집【일제강점 100년】식민지에서 산다는 것 – 생존, 순응, 저항… 3. 젊은이들의 초상 / 이기훈(Lee Ki Hoon) pp. 50~83 4. 식민지 지식인의 “지조” 지키기 / 류시현(Ryu Si Hyun)pp. 84~103 5. 해방을 찾아가는 농민 / 이경란(Lee Kyung Ran)pp. 104~128 6. 경제불황기 정리해고와 노동자의 대응 / 이병례(Ree Byung Rye)pp. 129~155 7. 지방유지의 “식민지적” 삶 / 지수걸(Ji Su Gol)pp. 156~180 8. 이 땅에서 “별”로 산다는 것은 / 장유정(Zhang Eu Jeong)pp. 181~202 기획 : 5·18광주민주항쟁 30주년 기념 9. 5·18항쟁기 민간인 희생자들을...
책머리에 1. 온고지신을 통해 소통의 정치문화를 김성보 저 pp. 2~8(7 pages) 특집 : 불통시대에 돌아본 소통의 리더십 2. 조선시대 정치ㆍ사회의 성격과 의사소통 오종록(Oh Jong Rok) 저 pp. 10~33(25 pages) 3. 세종대의 정치적 의사소통과 그 기제 김영수(Kim Young Soo) 저 pp. 34~69(38 pages) 4. 조광조, 성공적 소통과 급격한 단절의 명암 김범(Kim Beom) 저 pp. 70~92(24 pages) 5. 소통의 시각에서 본 율곡 이이의 정치활동 김영두(Kim Young Doo) 저 pp. 93~117(26 pages) 6. 이순신의 리더십에 나타난 소통의 노력 노영구(Roh Young Koo) 저 pp. 118~143(28 pages) 7. 백성과 소통한 군주, 정조 한상권(Han Sang Kweon) 저 pp. 144~172(31 pages) 기획 : 한국 기독교회사의 반성과 과제...
책머리에 1. 다시 반복해서는 안 될 아홉수 해의 비극 김성보 저 pp. 6~13(8 pages) 시평 2. 한국 근현대 100년 미완의 과제, 중도 정태헌(Jung Taehem) 저 pp. 14~30(17 pages) 특집 : 위기의 남북관계와 10대 현안 3. 남북관계의 탈근대적 인식 박태균(Park Tae-Gyun) 저 pp. 32~51(20 pages) 4. 남북관계와 미국의 동북아정책 이근(Geun Lee) 저 pp. 52~79(29 pages) 5. 남북관계 10대 현안 분석 1 : 왜 합의하고 이행하지 않는가 김연철(Kim Yeonchul) 저 pp. 80~88(9 pages) 6. 남북관계 10대 현안 분석 2 : 한반도 비핵화의 해법 박건영(Kun Young Park) 저 pp. 89~99(11 pages) 7. 남북관계 10대 현안 분석 3 : 남북 접경지대의 평화적 활용을 위하여...
책머리에 1. 21세기 ‘보편적 한국’ 또는 ‘한국적 보편’을 희원하며 박명림 저 pp. 6~15(10 pages) 특집 : 경제위기와 민주주의 – 대공황기 사회경제 정책의 함의와 한국의 미래 2. 한국의 경제위기, 민주주의와 시장만능주의 이정우(Lee Joung-Woo) 저 pp. 18~49(33 pages) 3. 대공황 전후 후버와 루스벨트의 사회경제 정책 비교 홍종학(Jong Hak Hong) 저 pp. 50~77(30 pages) 4. 대공황기 영국의 경제ㆍ실업 정책과 민주주의의 보전 홍석민(Seok Min Hong) 저 pp. 78~108(33 pages) 5. 나치의 일자리 만들기와 재무장 : 그 신화와 비극 이진모(Jinmo Lee) 저 pp. 109~132(25 pages) 6. 일본의 쇼와공황과 민주주의의 엇박자 하종문(Ha Jong-moon) 저 pp. 133~156(26 pages) 인물탐구 7. 어찰의 정치학 : 정조와 심환지 안대회(An Dae-hoe)...
책머리에 1. 전진하는 세계, 후퇴하는 한국 김성보 저 pp. 6~14(9 pages) 권두좌담 2. 위기에 처한 역사교육, 진단과 대안 김성보 · 최갑수 · 김태웅 · 유필조 · 김현진 · 유원석 토론 pp. 15~65(51 pages) 시론 3. 이명박 정권과 법치주의 박홍규(Hongkyu Park) 저 pp. 66~83(18 pages) 특집 : 순응과 갈등의 한미관계 60년, 미래지향의 대안을 찾아 4. 잘못 끼운 첫 단추 박태균(Park Tae-Gyun) 저 pp. 86~112(28 pages) 5. 데탕트기의 한미갈등 마상윤(Ma Sang Yoon) · 박원곤(Park Won Gon) 저 pp. 113~139(29 pages) 6. 김대중-부시 정부 시기 한미관계 박건영(Kun Young Park) · 정욱식(Wooksik Cheong) 저 pp. 140~168(31 pages) 7. 미래지향적 동맹을 향한 긴장과 협력 박선원(Sun-won...
책머리에 1. 역사교과서, 진정 무엇이 문제인가 김성보 저 pp. 6~13(8 pages) 시론 2. 국가, 과거의 힘, 역사의 효용 최갑수(CHOI Kab-soo) 저 pp. 14~26(13 pages) 3. 미국 금융위기와 한반도의 새로운 가능성들 이수훈(Su-Hoon Lee) 저 pp. 27~46(21 pages) 특집 : 동아시아속의 ‘변경’ 4. 우치난추의 눈으로 본 오키나와 임성모(Im Seong Mo) 저 pp. 48~80(35 pages) 5. 중국 신장의 민족갈등 이동률(Lee Dong Ryul) 저 pp. 81~103(25 pages) 6. 티베트 민족 문제의 역사적 궤적 박장배(Park Jangbae) 저 pp. 104~131(29 pages) 7. 중국의 주변문제, 티베트를 보는 다른 눈 – 한족 출신 양심적 지식인 왕리슝과의 대담 조경란(Cho Keong Ran) · 왕리슝 토론 pp. 132~166(35 pages) 기획1 :...
책머리에 1. 60년을 넘어 어디로 갈 것인가? 김성보 저 pp. 6~13(8 pages) 기타 2. ‘건국절’ 철회를 촉구하는 역사학계의 성명서 편집부 편 pp. 14~14(1 pages) 3. 편집자의 말 편집부 편 pp. 16~16(1 pages) 특별기획 : 대한민국 정부 수립 60주년 김대중 전 대통령 인터부 4. 민주적 시장경제와 평화공존에의 여정 박명림 · 김대중 토론 pp. 17~66(50 pages) 특집 : 병영국가에서 경영국가로, 대안은 있는가? 5. 병영사회에서 경영사회로의 전환 홍덕률(Hong Duck-Ryul) 저 pp. 68~99(33 pages) 6. 대기업 성장과 정부-기업관계 최상오(Choi Sang-Oh) 저 pp. 100~128(31 pages) 7. 민주적 경제성장을 위한 국가 역할의 역사적 검토 정태헌(Jeong Tae Heon) 저 pp. 129~160(34 pages) 8. 경제와 사회의 조화를 위한...
책머리에 1. 위험 사회의 경고 /김성보 저 pp. 6~14 시론 2. 다시 보는 과거사 정리 /임현진(Hyun-Chin Lim) 저 pp. 15~31 특집 : 남북 정부 수립 60주년 Ⅱ : 이승만과 제1공화국 – 분단과 건국의 담론을 넘어 3. 평화공존의 관점에서 본 남북 국가의 초기 성격과 상호 경쟁 /김성보(Kim Seong Bo) 저 pp. 34~57 4. 이승만의 한국 문제ㆍ동아시아ㆍ국제 관계 인식과 구상 /박명림(Myung-Lim Park) 저 pp. 58~88 5. 이승만 정권의 자립경제론, 그 지향과 현실 /정진아(Chung Jin-A) 저 pp. 89~116 6. 제1공화국의 지배 이데올로기 /후지이 다케시(Fujii Takeshi) 저 pp. 117~151 7. 1950년대 노동 지배 담론과 노동자의 대응 /이정은(Lee Jung Eun) 저 pp. 152~175 8. 4H...
1. 남북정부 수립60주년과 새정부 출범 /편집부 편 pp. 6~14 특집 – 남북 정부 수립 60주년 Ⅰ : 두 가지 길, 남과 북을 만든 사람들 2. 남북의 두 과학자 이태규와 리승기 /김근배(Geun Bae Kim) 저 pp. 16~40 3. 최현배와 김두봉 /이준식(Lee Junsik) 저 pp. 41~67 4. 염상섭과 한설야 /김재용(Kim Jae-yong) 저 pp. 68~95 5. 이병도와 김석형 /김일수(Kim Il Su) 저 pp. 96~125 6. 박정희와 김일성 /박명림(Myung-Lim Park) 저 pp. 126~156 기획 1 : 제주 4ㆍ3 60주년 4ㆍ3을 넘어 평화로 7. 4ㆍ3 위원회의 기념 사업에서 선택되고 제외되는 것들 /고성만(Go Sung Man) 저 pp. 158~187) 8. 고난의 섬에서 평화의 섬으로 /조성윤(CHO SUNG YOUN)...
▶ 책머리에 / 김성보▶ 시론: 2007년 남북 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체제* 한반도 평화체제와 경제협력―쟁점과 과제 / 김연철*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의의와 평가 / 안병욱▶ 특집: 민주화 20년을 넘어서―평가와 과제* 민주화 20년을 넘어서는 새로운 정치개혁의 과제 / 강원택* 탈냉전․민주화시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평화연구의 시각 / 구갑우* ‘민주화’ 20년의 ‘경제민주화’, 그 굴곡과 해체 / 신용옥* 문민정부 이후의 교육정책 분석 및 차기정부의 교육혁신 과제 / 한준상▶ 기획연재: 우리 시대의 역사가들* 풀뿌리 역사가 하워드 진 / 최성철* 대기업을 통해 본 현대사―기업사가 알프레드 챈들러 / 송충기▶ 역사기행* 열린 변방, 조슈(長州)―메이지 유신의 발상지 / 허영란▶ 기획논문*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서양과학 읽기―최한기의 기학과 서양과학 / 전용훈▶ 역비논단* 1970년대 경제적 동원기제의 형성과...
책머리에 민주화 20년, 역사비평 20년권두논문 과거사 진상규명의 점검과 향후 과제 서중석 특집 1 민주화 이후 근현대사 연구 20년: 어떻게 새롭게 할 것인가‘식민지근대’론과 민족주의 이승렬우리 시대 후발 ‘이중혁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산업화와 민주화의 한국적 길, 비교역사적 시각에서 본 그 특질과 결과 이병천민족주의 논쟁과 세계체제, 한반도 분단 문제에 대한 대응 홍석률민주화 이후 국제관계와 세계인식―국가전략, 담론·지식, 시민사회의 거대변환 박명림‘지나간 미래’의 성찰과 새로운 대안사회의 모색 장상환탈중심의 세계사 인식과 한국근현대사 성찰 김성보 특집 2 박정희 집권기의 재조명박정희시대의 ‘공안사건’들과 진상규명 정호기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박태균김대중 납치사건과 박정희 저격사건 이완범박정희의 자주국방과 핵개발 조철호 특별기획 서양사와 한국사의 소통 공간, 『역사비평』 20년의 기록 김승렬역사기행 교토가 말하는 한일관계 2000년―근세편 정재정 기획서평 식민지...
▲ 책머리에* 한미 FTA의 충격, 시장독재와 사회연대의 갈림길 / 김성보▲ 쟁점․노무현 정부의 한미관계, 어떻게 볼 것인가* 좌담: FTA, 북핵, 그리고 한미동맹―찬반론과 대안 / 김성보(사회), 김영호, 박명림, 박태균, 최태욱* 한미관계 위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 박태균▲ 특집: 탈중심의 동아시아사 쓰기* 유동적 역사 공간―근세 동아시아로의 접근 / 차혜원* 이주와 유통으로 본 근현대 동아시아 경제사 / 강진아* 주변의 시선으로 본 동아시아사 / 임성모* 동아시아 역사 속의 한국 과학, 다시 읽고 쓰기 / 이문규▲ 특별기고*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탄생에 대한 시론 / 유승원▲ 역비논단* 구술과 가장문서를 통해 본 양반가 4대의 가족이야기―식민지․근대의 경험과 가족문화의 변화 / 김영미* 라비스와 프랑스의 호전적 민족주의― CRC-EHESS, CCJ-CNRSMore Posts – Website
책머리에6월항쟁의 정신은 계승되어야 한다 / 김성보특집/ 87년 6월항쟁, 문화와 일상의 혁명김명환 / 6월항쟁 스무 돌에 돌아보는 한국사회송충기 / 68운동과 그 역사화이영미 / 공연예술계의 다양화를 위한 진통김정희 / 6월 민주항쟁과 그후의 한국 미술이채훈 / 상식을 향한 멀고도 험한 길―6월항쟁 20년에 되돌아본 방송정준영 / 스포츠공화국의 귀환―1987년 6월항쟁과 스포츠박진희 / 6월항쟁과 과학기술계구도완 / 6월항쟁과 생태환경쟁점하종문 / 반일민족주의와 뉴라이트기획 1/ 재일조선인: 안과 밖의 두 시선정태헌 / 총련계 재일동포들의 21세기 자기인식권혁태 / ‘재일조선인’과 한국사회―한국사회는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표상’해왔는가기획 2/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이 제안하는 동북아 평화의 길와다 하루키 / 북한의 핵문제와 동북아시아 평화기미지마 아키히코 / 동아시아의 평화와 일본국헌법―시행 60년을 맞이한 재검토역사기행정재정 / 교토가 말하는 한일관계 2000년―고대편역비논단정병욱 /...
책머리에 / 김성보시론- 한반도의 시민참여형 통일과 전지구적 한민족 네트워크 / 백낙청특집: 한국사회 5대권력: 역사와 그 성격- 한국 법조 직역의 형성과정, 성격, 그리고 과제 / 차병직– 언론권력과 훈민(訓民)적 공론장 / 강명구– 재벌권력,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홍덕률– 한국사회와 종교권력―비교역사적 접근 / 강인철– 교육과 권력 / 김상봉 문혁 40주년기획: 중국 문화대혁명, 어떻게 볼 것인가– 근현대사 속의 문화대혁명―수사(修史)의 당위와 한계 / 전인갑– 한국의 비판적 지식인과 문화대혁명 / 정문상– 대담: 문혁의 세계사적 의의―아리프 딜릭을 만나다 / 황동연 역사와 기억– 세기(世紀)의 망각(忘却)을 넘어서―러일전쟁 100주년 기념행사를 중심으로 / 도진순 반론– 일제하 조선인의 생활수준은 악화되었을까? / 김낙년 역사기행– 교토가 말하는 한일관계 2000년―근현대편 / 정재정 잊혀진 역사–...